반응형 전체 글88 대학로 혜화역 맛집 ㅣ샌드위치 날에ㅣ서 찾은 바게트의 매력 대학로 감성 샌드위치 맛집 🍞 “Sandwich Nale”에서 찾은 바게트의 매력 오늘 대학로에 약속이 있어서 갔다가 우연히 예쁜 외관에 이끌려 들어간 샌드위치 가게.이름은 샌드위치 날에 (Sandwich Nale).앙증맞은 화분과 따뜻한 조명의 분위기까지…마치 유럽 작은 동네 빵집에 온 듯한 기분이었어요.✔ 바게트 마늘빵 + 생크림 조합은 처음인데… 완전 취향저격!진짜 맛있어서 깜짝 놀랐던 게바게트 마늘빵에 생크림을 넣어서 바로 구워주는 메뉴였어요.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면서도 달달~ 칼로리 폭탄!너무 맛있어서 두 개 사서 하나는 가족 먹으라고 포장해왔답니다. 🥪 샌드위치는 양도 푸짐하고 종류도 다양해요제가 먹은 샌드위치는 ‘살구 잠봉 뵈르’.잠봉 햄에 상큼한 살구잼과 루꼴라가 어우러진바게.. 2025. 4. 9. IRP vs 연금저축 완전 비교! 세액공제 없이 운용하는 실전 전략 IRP vs 연금저축, 뭐가 다른가요?세액공제 안 받고 IRP 쓰는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IRP 계좌에 어떤 ETF를 넣어야 할지 고민했다면,이번엔 “IRP와 연금저축, 도대체 뭐가 다르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지?”라는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이에요.또 어떤 분들은 “나는 세액공제를 받고 싶지 않은데, 그냥 운용만 하고 싶다”는 경우도 있죠.이번 글에서는 그런 질문을 한 번에 정리해볼게요. ✔ IRP와 연금저축의 차이✔ 세액공제 안 받고 IRP 쓰는 방법✔ IRP 투자 시 자주 헷갈리는 실수들까지!간단하고 실용적으로 알려드릴게요 😊✅ IRP vs 연금저축, 핵심 차이만 딱 정리두 계좌 모두 연금 목적으로 사용하는 절세형 계좌예요.하지만 구조와 기능은 꽤 다릅니다.항목IRP연금저축가입 대상누구나 가능 (.. 2025. 4. 9. 처음 IRP 계좌 만들었는데… 무엇에 투자해야 할지 막막하다면? IRP 계좌, ETF 넣어도 괜찮을까?먼저 IRP 계좌는 연금 수령용 계좌예요.60세 이후에 연금으로 수령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투자 기간이 길죠.그래서 너무 공격적인 상품보다는 안정적이면서도 장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ETF가 적합합니다.ETF는 종류가 너무 다양해서 선택이 어렵지만,크게 아래 3가지 기준으로 고르면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어요. ✅ 기준 1: 안정적인 채권형 ETFIRP의 기본 목적은 '노후 자금 마련'이기 때문에 원금 손실 가능성이 낮은 ETF부터 담는 게 좋아요.대표적인 안정형 상품:KOSEF 국고채 10년KIS 국고채 10년TIGER 단기채권액티브이런 상품들은 수익률이 높진 않아도 가격 변동이 적고 안정적이에요.IRP 전체 자산 중 최소 50% 이상은 이런 상품으로 구성하는 .. 2025. 4. 8.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제대로 알고 양도소득세 피하자! 집 한 채만 갖고 있는데, 팔면 세금 내야 하냐고요?조건만 맞으면 양도차익이 아무리 커도 ‘세금 0원’이게 바로 1세대 1주택 비과세 제도입니다.하지만 “1세대 1주택”이라는 말이 은근 까다롭고 복잡하죠.오늘은 저처럼 직접 공부해본 사람 입장에서진짜 중요한 요건만 뽑아서 쉽게! 정리해볼게요.🧩 비과세 요건 핵심 요약1세대 1주택 비과세를 받으려면, 딱 3가지를 충족해야 합니다.1세대일 것1주택만 보유할 것2년 이상 보유 (조정지역은 2년 이상 실거주까지)🔍 1. “1세대”란?한 집에서 같이 사는 가족 단위 = 1세대배우자, 자녀, 부모 등 함께 사는 사람 모두 포함📌 중요 포인트:주민등록이 달라도 생계를 같이 하면 같은 세대로 봅니다남편 명의 집, 아내 명의 집 따로 있어도 → 세대 전체로 2주택?.. 2025. 4. 6. 공동명의 장기보유특별공제, 양도소득세 절세 이렇게 합니다! (보유기간·실거주 기준 총정리) ✔ 장기보유특별공제란?부동산을 오래 보유할수록 양도차익에 대해 일부 세금을 깎아주는 제도입니다.정부가 단기 투기를 억제하고 장기 보유를 장려하기 위해 만든 혜택이죠.📍 핵심 요약:보유 기간이 1년 늘어날수록 공제율이 높아짐최대 15년 보유 시 30% 공제1세대 1주택 + 실거주 요건 충족 시엔 최대 80% 공제까지 가능!📌 공동명의자는 장특공제 어떻게 받을까?이 부분이 핵심입니다.공동명의의 경우, 각자의 ‘보유기간’과 ‘거주기간’을 기준으로 따로 계산합니다.즉, 공동으로 집을 소유하고 있어도, 공제율은 똑같이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남편과 아내가 공동명의로 주택을 10년간 보유아내만 해당 주택에서 실제로 거주이 경우…남편: 10년 보유, 실거주 아님 → 보유기간 공제만 적용 (최대 3.. 2025. 4. 6. 공동명의 주택+토지 양도, 양도소득세 이렇게 신고했어요 (실전 경험 공유) 📌 공동명의 주택+토지 양도, 양도소득세 이렇게 신고했어요 얼마 전 공동명의로 보유하고 있던 주택과 부속토지를 매도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양도소득세 신고'를 직접 경험하게 됐습니다. 처음엔 낯설고 복잡하게만 느껴졌지만, 하나하나 정리해보니 꼭 알아야 할 포인트는 의외로 간단했습니다. --- ✔ 공동명의는 따로따로, 지분대로 신고! 공동명의는 한 명이 대표로 신고하는 것이 아니라 📍 **각자 지분 비율에 따라 따로 신고**해야 합니다. 저희는 2인 공동명의(각 50%)였기 때문에 (예시 금액)- 취득가액 2억 → 각자 1억씩 입력 - 양도가액 3억 → 각자 1.5억씩 입력 이런 식으로 신고했어요. 지분이 30:70이라면? 그 비율대로 취득가액과 양도가액을 나누면 됩니다. ❗ 지.. 2025. 4. 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