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기초 공부

처음 주식 시작하는 분께 – 주식, 어렵지 않게 풀어드립니다

by 쌈지로그 2025. 4. 10.
반응형

📌 주식 기초 공부 ①탄

주식이란 무엇인가요? –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그리고 내 이야기로

처음 주식을 시작

했을 때, 저는 솔직히 주식이 뭔지도 모른 채 '뭐가 좋다더라~'는 말만 듣고 샀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요?

 

 

 

👉 상장폐지, 거래정지, 끝없는 손실...

 

급기야 리딩방 유료 가입까지 2년 계약을 했지만,
거기서도 결국 남은 건 손실뿐이었어요.
그리고 제 손에 남은 건 텅 빈 통장과 ‘깡통’이 된 계좌였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주식이 뭔지, 왜 사고파는지도 모르고
‘뭐가 좋다더라~’는 말만 듣고 따라간 게 가장 큰 실수였어요.

그 후로 저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주식 공부를 다시 시작했고,
이제는 정말 조심스럽게 투자하고 있어요.
공부하고 나서야 알게 된 것들, 그리고 깨달음!

 

“처음엔 잃지 않는 투자부터 연습했더라면...
껄무새가 되어 후회했죠.”

 

 

그래서 지금부터는,
그때의 저처럼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려는 분들께
제가 겪었던 시행착오와 배운 내용을 아주 쉽게 풀어
‘공부 복습’ 겸해서 설명해보려 합니다.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쉽게!


✅ 주식이란?

회사(기업)의 조각을 사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 볼게요.
A라는 빵집 사장님이 가게를 키우려고 돈이 필요해요.
혼자 감당이 안 되니, 가게를 100조각으로 나누고, 그걸 친구들에게 팔아요.
그 조각 1개가 ‘주식’이에요.
이제 그 친구들은 그 빵집의 공동 주인이 된 거죠.

기업도 마찬가지예요.
삼성전자나 카카오 같은 회사들도 돈이 필요할 때,
자기 회사를 조각내서 사람들에게 파는 거예요.
그 조각이 바로 ‘주식’입니다.


✅ 주식을 사는 이유는?

주식을 사면 크게 두 가지 이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1. 시세 차익
    • 싸게 사서 비싸게 팔면 이익
    • 예: 1만원에 산 주식이 2만원이 되면 1만원 벌어요!
  2. 배당금
    • 회사가 이익을 내면 주주에게 나눠주는 보너스 같은 개념
    • 꼭 주는 건 아니고, 회사 정책에 따라 달라요

📉 하지만 반대로 회사가 망하면?
→ 그 주식은 휴지조각이 될 수도 있어요
→ 제가 겪은 상장폐지, 바로 이런 상황이었죠


✅ 주식은 어떻게 사고파나요?

주식은 **증권사 앱(MTS)**이나 **컴퓨터 프로그램(HTS)**을 통해
**매수(사기) / 매도(팔기)**할 수 있어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주식시장’은
이런 전자 시스템 안에서 실시간으로 가격이 변하며 거래되는 곳이에요.

마트에서 물건 사듯, 주식도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에요.


✅ 처음엔 왜 이렇게 어려웠을까?

제가 처음 주식을 배울 땐
“시가총액”, “PER”, “이동평균선”, “공매도”, “배당락”…
진짜 외계어처럼 느껴졌어요.

하지만 지금은 알아요.
진짜 중요한 건 그 속의 핵심 개념 몇 가지뿐이라는 걸요.
다만, 그걸 쉽게 설명해주는 사람이 없었을 뿐이에요. 너무 전문가들은 설명을 해도

개념없이 듣는 저에게는 그저 외계어일뿐,

그래서 저는 이제부터
저처럼 아무것도 몰랐던 사람들을 위해
기초부터 천천히, 쉽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쌈지로그의 한마디

주식은 돈을 불리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먼저 '돈을 지키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저는 깡통을 차고 나서야 이걸 깨달았어요.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은,
저보다 덜 아프고 더 안전하게 시작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시리즈는 이해 안 되는 용어 없이,
진짜 기초부터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함께 가봐요 :)


👉 다음 편에서는
‘주식 계좌는 어떻게 만들어요?’
‘어떤 증권사를 골라야 할까요?’
이런 실전 첫걸음을 함께 정리해볼게요!

 

 

👉 주식초보시리즈 보러가기

 

 

주식기초공부 시리즈 한눈에 보기

📘 주식기초공부 시리즈 한눈에 보기포스트로 포인트 복잡한 것들도 이 한 페이지로 찾아보세요!한 페이지에 정리된 주식기초공부 시리즈 목차입니다. 처음 주식을 접하시는 분도, 하나씩만

okayhon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