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연금-절세팁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제대로 알고 양도소득세 피하자!

by 쌈지로그 2025. 4. 6.
반응형

[1주택 비과세] 이거 몰랐다간 세금 폭탄!

 

 

 

 

집 한 채만 갖고 있는데, 팔면 세금 내야 하냐고요?


조건만 맞으면 양도차익이 아무리 커도 ‘세금 0원’
이게 바로 1세대 1주택 비과세 제도입니다.

하지만 “1세대 1주택”이라는 말이 은근 까다롭고 복잡하죠.
오늘은 저처럼 직접 공부해본 사람 입장에서
진짜 중요한 요건만 뽑아서 쉽게! 정리해볼게요.


🧩 비과세 요건 핵심 요약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받으려면, 딱 3가지를 충족해야 합니다.

  1. 1세대일 것
  2. 1주택만 보유할 것
  3. 2년 이상 보유 (조정지역은 2년 이상 실거주까지)

🔍 1. “1세대”란?

한 집에서 같이 사는 가족 단위 = 1세대
배우자, 자녀, 부모 등 함께 사는 사람 모두 포함

📌 중요 포인트:

  • 주민등록이 달라도 생계를 같이 하면 같은 세대로 봅니다
  • 남편 명의 집, 아내 명의 집 따로 있어도 → 세대 전체로 2주택

🏠 2. “1주택”이란?

세대 전체가 주택을 1채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주택 2채 이상 보유하면 원칙적으로 비과세 불가

단, 이런 경우는 예외로 봐줘요:

일시적 2주택 (기준 충족 시)
주택이 아닌 걸 주택처럼 쓰던 경우 (ex. 오피스텔)
지방 저가주택 보유 중 (수도권 외 1억 이하 주택 등)


⏳ 3. 보유기간 & 실거주 기준 (핵심!)

구분비조정지역조정대상지역
기준 보유 2년 이상 보유 2년 + 실거주 2년 이상
예외 2008.11.3 이전 취득분은 실거주 없어도 가능  

📍 요즘 집 팔 때 세금 나오는 이유 중 절반이
바로 ‘실거주 요건 미충족’ 때문이에요!

✔ 전세 놓고 오래 보유했더라도
조정지역이면 실거주 2년 없으면 과세 대상


🧮 계산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서울(조정지역)에 집 보유
  • 5년 동안 보유, 3년은 전세, 2년 실거주
    → ✅ 실거주 2년 요건 충족 → 비과세 가능
  • 대전(비조정지역)에 3년 전 취득
  • 실거주는 X, 3년 보유만
    → ✅ 비과세 가능 (실거주 필요 없음)

❗ 비과세 안 되는 대표 사례

  • 실거주 요건 안 됨 (조정지역인데 전세만)
  • 2주택 보유 중 매도
  • 분양권+주택 동시 보유
  • 증여받은 집을 바로 팔 경우 (보유기간 판정 유의)

📝 실전 꿀팁 모음

✅ 실거주 증빙은 전입신고 + 실제 거주 기록 필수
✅ 공동명의자 각각 따로 1세대 1주택 해당 여부 따짐
✅ 분양권 있는 경우는 ‘주택 수’에 포함될 수 있음
✅ 비과세 조건 안 맞으면 장기보유특별공제라도 꼭 챙기기!


✍ 정리하며

“집 하나니까 팔면 비과세겠지~”
라고 생각했다가 세금폭탄 맞을 수 있어요.

지금 내가 가진 집이
✔ 조정대상지역인지
✔ 실거주는 얼마나 했는지
✔ 나와 가족 명의로 다른 집은 없는지
한 번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 시리즈 다시 보기

1편 ▶ 공동명의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https://okayhong.tistory.com/entry/공동명의-주택토지-양도-양도소득세-이렇게-신고했어요-실전-경험-공유
2편 ▶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방법

https://okayhong.tistory.com/entry/공동명의-장기보유특별공제-양도소득세-절세-이렇게-합니다-보유기간·실거주-기준-총정리
3편 ▶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총정리 

https://okayhong.tistory.com/entry/1세대-1주택-비과세-요건-제대로-알고-양도소득세-피하자

 

 

 

👉 ‘쌈짓돈 프로젝트’ 시리즈로 절세 완전정복!
구독·즐겨찾기 해두시면 앞으로도 실전 정보 쭉 받아보실 수 있어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