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기초 ⑩탄] 공모주 청약 완전 정리
요즘 "공모주 청약, 해볼까?" 궁금한 분들 많죠?
상장 전에 싸게 주식을 사서, 상장일에 바로 수익을 낼 수도 있다는 말에 혹~ 하셨다면
이번 글 딱 보고 개념부터 실전까지 정리해보세요!
공모주 청약은 ‘주식을 미리 싸게 사서’, ‘상장 당일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 방식입니다.
💬 핵심 키워드: 공모주 청약, 상장 수익, 시초가 전략, 균등·비례 배정
1️⃣ 공모주 청약이란?
공모주는 IPO(상장)를 앞둔 기업이
주식을 일반인에게 공개적으로 판매하는 것입니다.
기업은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시세차익 기회를 얻죠.
📌 예시:
A기업이 "주당 2만 원에 100만 주를 공모"한다면
→ 기관·일반 청약자·임직원 등에게 배정 후
→ 약 2주 뒤 상장되어 자유롭게 매매 가능해요!
- 청약 시점: 보통 상장 2주 전
- 상장일: 오전 9시부터 거래 시작
- 시초가 > 공모가 → 바로 수익!
2️⃣ 청약 가능한 계좌는?
공모주는 주관사 계좌가 필수입니다.
예를 들어 NH투자증권이 주관사면, NH 계좌가 있어야 청약 가능해요.
미리 계좌를 개설해두면 기회가 왔을 때 바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권사 앱 추천
- KB증권: M-able
- NH투자: 나무
- 미래에셋: m.Stock
- 한국투자: 뱅키스
공모주 일정 확인 사이트
- 38커뮤니케이션
- 네이버 금융 > IPO 탭
- IPO스탁
3️⃣ 균등 배정 vs 비례 배정
구분특징유리한 대상
균등 배정 | 일정 금액만 넣어도 1주 가능 | 소액 투자자 |
비례 배정 | 증거금 많이 넣을수록 더 받음 | 자금 여유 큰 투자자 |
요즘은 대부분 혼합 배정(예: 균등 50% + 비례 50%)
→ 소액 투자자도 기회 생깁니다!
4️⃣ 공모주 청약 절차 (실전 따라하기)
- 청약 일정 확인 (38커뮤니케이션, 네이버 금융 IPO탭 등)
- 증권사 앱 접속 → 청약 메뉴 클릭
- 종목 선택 후 수량 입력
- 증거금 50% 납입
- 청약 마감 후 배정 결과 확인
- 상장일 자동 입고 → 시세차익 가능!
💡 예시:
공모가 2만 원, 10주 청약 = 총 20만 원 중 50%만 필요 → 10만 원
시초가가 4만 원이면?
→ 1주만 받아도 +2만 원 수익!
5️⃣ 상장일, 매도 타이밍은?
- 📌 시초가 형성: 오전 9시 (공모가 기준 90~200%)
- 시초가 2배 시작 → ‘따상’
- 따상 후 +30% → ‘따따상’
공모가보다 낮게 시작하거나, 첫날 급락하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 🔍 이럴 땐 기업 실적, 수요예측 결과 체크 필수!
✅ 공모주 일정 흐름 예시
단계내용
청약일 | 보통 이틀 (월 |
납입일 | 청약 당일 증거금 50% 납입 |
배정일 | 청약 종료 다음 날 |
환불일 | 납입금 중 잔액 환불 (2일 이내) |
상장일 | 보통 청약일 기준 2주 후 |
💡 실전 꿀팁 – 경쟁률 보고 판단하는 법
- 공모주 청약 = 당첨 확률과 수익률이 반비례하는 경우도 있어요!
무조건 경쟁률 높은 곳에 뛰어들기보단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경쟁률 10~30:1
- 최소 1주 받을 확률↑
- 자금 부담 적고 안정적
- 기관 수요예측 1,000:1 이상
- 하지만 경쟁 과열로 1주도 못 받을 가능성 있음
- → 관망 후 눌림목 매수도 유효 전략
- 🧠 전략 ① – 균등 배정 노리기 (소액 참여자용)
한 줄 요약
- 청약 참여는 10~30:1 경쟁률이 적당
- 따상 기대주는 1,000:1 이상 경쟁률에서 등장
→ 전략 다르게 가져가야, 괜히 돈 묶이지 않습니다!
📌 오늘의 포인트 정리
✔ 공모주는 상장 전 미리 사는 찬스
✔ 청약하려면 주관사 전용 계좌 필수
✔ 균등은 최소참여 / 비례는 큰돈 투자자용
✔ 청약 → 배정 → 상장 → 매도 순서로 진행
✔ 모든 종목이 수익 나는 건 아니니 기업 분석도 중요!
✔ 경쟁률도 전략적으로 해석해야 수익이 생깁니다!
반응형
'📊주식 기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투자와 단타, 나한테 맞는 건 뭘까? (49) | 2025.05.23 |
---|---|
배당주 투자 이렇게 시작하세요 – 수익률·ETF 완전정리 [초보주식 ⑨ 탄] (65) | 2025.05.20 |
분산투자 vs 몰빵 전략 – 주식 초보라면 꼭 알아야 할 리스크 관리법 (81) | 2025.05.18 |
차트 보는 법, 이거 하나로 끝! 주식기초 (양봉·음봉·거래량 핵심 요약) (92) | 2025.05.18 |
ETF vs ETN, 뭐가 다를까? – 투자 초보를 위한 핵심 비교 정리 (63) | 2025.05.10 |